하이쿠
일본 또한 사계절의 변화가 있기에 자연은 일본인의 심성을 오랫동안 지배해왔으며 와카(일본 고유의 시)나 하이쿠처럼 풍부한 계절감을 표현하는 시가 낭송되어 왔습니다.
일본인은 도처에 존재하는 자연물을 문학의 대표적인 소재로 삼아왔고 와카나 하이쿠를 통해 당대인들의 자연인식, 순환적 세계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이쿠가 와카나 렌가(2인 이상의 사람이 이어서 읊는 전통시) 와 차별화되는 점은, 바로 인생과의 교감입니다.
전대의 자연을 주제로 한 와카의 전통을 잇는 하이쿠는 서민들의 삶과 애환 또한 절절히 읊어 새로운 매력을 느낄 수 있게 했습니다.
하이쿠의 기본 형식
하이쿠는 5 / 7 / 5 총 17자로 된 정형시로서 세계에서 가장 짧은 시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하이쿠는 짧은 시이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암송하고 지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17음은 일본어로 표현할 수 있는 시 형식 가운데 가장 합리적인 범위이자 가장 최소한의 형태라고 합니다.
하이쿠에는 기본적으로 기고 라고 하는 계절을 나타내는 단어가 들어가야 합니다.
하이쿠의 기고는 자연, 환경이라는 현대의 화두와도 잘 맞아떨어지고 기고를 통해 시의 배경이 된 계절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기고 속에는 옛 시인들에 의해 발견된 계절감이 드러나며 새로운 시정을 불러일으키는 소재가 되기도 합니다.
하이쿠를 바탕으로 수묵화도 그려졌고, 특히 1898년 일본으로 귀화한 영국인 문학자 레프카디오 헌이 처음으로 영어로 번역하여 구미에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대표 하이쿠 작가들
마쓰오 바쇼 - 한적함이여 바위에 스며드는 매미 울음소리 (여름)
요사노 부산 - 도끼질하다 향기에 놀라도다 겨울 나무숲 (겨울)
아라키다 모리다케 - 낙화 가지에 돌아간다 봤더니 나비로구나 (봄)
다도
일본의 다도는 다실을 꾸미고 다구를 준비하여 다실에서 차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는 전체 과정을 의미합니다.
다선일미 라고 하여 다도의 경지와 선의 경지를 하나로 여기고 있습니다.
이치고이치에 - 다회에서 주인과 손님의 만남은 일생에 단 한 번 밖에 없는 소중한 만남 이라는 뜻.
다도는 형태상으로 예도에 분류되는데, 기술 뿐 아니라 정신적인 고양을 전제로 하는 도, 정신문화로 이해하고 자리매김했습니다.
일본 다도의 역사
일본에 차가 전래된 것은 8세기 경이며, 당나라에 유학을 갔던 승려들이 중국의 차 문화를 갖고 돌아왔습니다.
사원에서는 차를 부처님께 공양물로 올리기도 하고 참선하는 스님들의 정신을 맑게 하는데도 활용했습니다.
당나라 문화를 모방하던 헤이안 시대 귀족문화의 습관이 가마쿠라시대에 이르러 무가사회와 선원으로까지 확대되었습니다.
마시는 방법이 번거로운 맛차(말차)가 아닌, 센차(전차)가 보급되며 서민사회에까지 차문화가 확대되었고,
투차(여러 종류의 차를 나누어 마시면서 품종과 산지를 맞추는 놀이 문화) 또한 서민사회로까지 확대되됬습니다.
다도의 핵심이라 보는 차노유의 시조는 무라타 주코(1422-1502년) 입니다. 나라의 승려 출신으로 여러곳을 유람하고 선을 배우며 불법도 차노유 속에 있다는 깨달음을 얻고 당나라의 방식과는 다른 일본 특유의 차노유법식을 세웠습니다.
16세기 초에는 전문적으로 차를 다루는 다케노 조오(1502-1555년), 센노 리큐(1522-1591년) 같은 직업적인 다인들이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센노 리큐는 오다 노부나가, 도오툐미 히데요시 두 장군 아래서 다두(차에 관한 최고 지위)가 되었고 궁중 다회의 후견인 역할을 하며 다인으로 칭송받게 됩니다.
'일본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편의점의 매력: 24시간 열려 있는 작은 천국 (1) | 2025.06.28 |
---|---|
일본 센노리큐 초암다실 히데요시 황금다실 다도 (2) | 2025.06.26 |
일본의 선불교 미의식 건축 사생관 벚꽃 (1) | 2025.06.24 |
일본 전통 예능 에도의 풍속도 우키요에 역사 니시키에 (1) | 2025.06.21 |
일본 전통 예능 분라쿠의 역사 인형 무대 분류 (0) | 2025.06.21 |